바질 요리 효능
바질이란
원산지는 동아시아이며 민트과에 속하는 식물 입니다. 줄기가 목질화되는 여러해살이 반곽목이며
높이는 20~70cm 줄기는 사각형이며 털이 납니다.
잎은 가장자리에서 물결 모양 놉니가 있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마주나며 길이가 5~10cm입니다
바질은 독특한 향신료로 이탈리아 요리에 주로 이용됩니다.
또한 바질은 토마토, 마늘, 가지, 치즈 올리브유 등에 궁합이 잘맞습니다.
바질 영양성분 100g당
니아신 0.40mg |
나트륨 5.00mg |
단백질 1.20g |
당질 3.50g |
레티놀 0.00㎍ |
베타카로틴 2,191.00㎍ |
비타민 A 365.00㎍RE |
비타민 B1 0.07mg |
비타민 B2 0.08mg |
비타민 B6 0.20mg |
비타민 C 88.80mg |
비타민 E 0.44mg |
식이섬유 1.99g |
아연 0.22mg |
엽산 19.00㎍ |
인 36.00mg |
지질 0.30g |
철분 2.10mg |
칼륨 238.00mg |
칼슘 56.00mg |
콜레스테롤 0.00mg |
회분 1.20g |
) |
바질 효능
바질 효능 1. 면역력 개선
바질은 베타카로틴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베타카로틴이 바이러스로부터 지켜줘
신체를 건강하게 해줍니다. 그래서 면역력이 개선되어 감기같은 질병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바질 효능 2. 골다공증 예방
바질은 비타민 K가 들어있습니다. 이 비타민 K 는 칼슘 흡수율을 높여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뼈의 구성에도 도움을 줍니다.
바질 효능 3. 두통 완화
바질에 대표적인 효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질의 향기가 머리를 맑게 해주고 바질을 차로 내서 마시게 되면 두통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바질은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에도 도움을 줍니다.
바질 효능 4. 노화 방지
바질에는 베타카로틴, 비타민C, 비타민 E 이 들어있는데요 이 성분들이 활성산소를 제거해 노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바질 효능 5. 소화능력 향상
바질은 구토, 내장경련, 소화불량, 메스꺼움등 완화 하는데 좋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바질은 살균, 염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줘 위 같은 증상을 완화 해줍니다.
바질 효능 6. 눈 보호
바질에 제아잔틴, 비타민 A, 루테인 등이 함유되어있습니다.
눈의 피로를 막아주고 눈 건강 개선에도 도움을 줍니다. 눈을 보호하고 노화와 손상을 막는데 도움을 줘 젊은분들에게도 좋습니다.
바질 효능 7. 변비 예방
바질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 되어있습니다. 식이섬유가 장의 운동을 도와줘 배변활동을 원할하게 도움을 줍니다. 또한 다이어트에도 도움을 준다고 소문이 나기 시작합니다
바질은 100g 당 22kcal로 칼로리가 낮습니다. 또한 영양소와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 식품에도 좋습니다.
바질 효능 8 심혈관 질환 개선
바질에는 베타카로틴이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어 바이러스와 세균을 막아줍니다. 그리고 혈관에서 나쁜 콜레스테롤이 쌓이는것을 막는데 도움을 줘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증 등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바질 부작용
바질은 과 섭취하면 중추신경을 자극을해 현기증이 날수있습니다.
그래서 바질은 과 섭취를 하면 안됩니다.
바질 요리
음식 위의 장식으로 친숙한 바질
다양한 요리와 바질은 좋은 궁합을 보이는 바질 입니다.
바질 요리 1. 바질 페스토
바질 요리 2. 피자
바질 요리 3. 파스타
바질 요리 4. 샐러드
바질 요리 5 아이스티, 레몬에이드
바질을 바질페스토를 만들어 빵에 발라먹거나
바질을 토핑하듯이 피자나 파스타에 올려먹거나
샐러드를 만들어 먹거나
에이드등에 데코로도 활용을 합니다
바질 효능, 바질 요리에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바질을 직접 키우셔서 드시는분들도 많은데요
바질 키우기는 직접 해보고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꿀팁정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로니아 효능 정리 (0) | 2020.08.14 |
---|---|
쥐젖이 생기는 이유 (0) | 2020.08.11 |
클로렐라 효능 부작용 (0) | 2020.07.24 |
내장지방 빼는법 꿀팁 (1) | 2020.07.23 |
기립성 저혈압 증상 정리 (0) | 2020.07.22 |
댓글